8번째 세계 (r33 Blame)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33
r1

(새 문서)
1 [include(틀:상위 문서, up=세계/세트2)]
2 [include(틀:세계)]
r20
O:itemwh
3 ||<nopad><width=8.3%> ||<nopad><width=8.3%> ||
r30
4 ||<-3><tablealign=right><tablewidth=500><bgcolor=#244627><color=#FFEB4C><table bordercolor=#5A7D7E,#10371A>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7462F, #395834)"
5 [[파일:World 8 Icon.png|width=75]][br]{{{#!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6px #FFEB4C; color:#FFEB4C"
6 '''{{{+4 8번째 세계}}}'''[br]{{{+1 육각형}}}[br]{{{-1 Hexagon}}}}}}}}} ||
7 ||<-2><bgcolor=#244627><nopad>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00 75%, #2A3841)"
r17
O:itemwh
8 [[파일:World 8.png|width=100%]]}}} ||
r30
9 ||<-2><bgcolor=#244627><nopad>'''{{{+1 {{{#FFEB4C | 출시일}}}}}}''' ||
r31
10 ||<-2>20○○년 ○○월 ○○일(v1.3.0) ||
r30
11 ||<-2><bgcolor=#244627><nopad>'''{{{+1 {{{#FFEB4C | 처음 등장하는 패턴}}}}}}''' ||
r6
12 ||<-2>육각형 ||
r30
13 ||<-2><bgcolor=#244627><nopad>'''{{{+1 {{{#FFEB4C | 분류}}}}}}''' ||
r17
O:itemwh
14 ||<-2>세트 레벨, [[세계/세트2|세트2]] ||
r30
15 ||<-2><bgcolor=#244627><nopad>'''{{{+1 {{{#FFEB4C | 튜토리얼 개수}}}}}}''' ||
r17
O:itemwh
16 ||<-2>8개 ||
r30
17 ||<bgcolor=#244627><nopad>'''{{{+1 {{{#FFEB4C | 관련 도전 과제}}}}}}''' ||||<bgcolor=#244627><nopad>'''{{{+1 {{{#FFEB4C | 클리어 시 해금 행성 색상}}}}}}''' ||
18 ||[[A Dance of Fire and Ice#s-4.2|[[파일:world8c.png|width=30]]]] 8번째 세계 완료[br][[A Dance of Fire and Ice#s-4.2|[[파일:world8p.png|width=30]]]] 8번째 세계 퍼펙트[br][[A Dance of Fire and Ice#s-4.2|[[파일:world8stc.png|width=30]]]] 8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 ||{{{#004028 ●}}} 어두운 초록색 (#004028)[br]{{{#547141 ●}}} 올리브색 (#547141) ||
r17
O:itemwh
19 [clearfix]
20 [목차]
21 == 개요 ==
22 [[A Dance of Fire and Ice]]의 공식 레벨 중 [[세계/세트2|세트2]]의 두번째 레벨인 '''8번째 세계'''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r23
O:itemwh
23 == 특징 ==
r32
O:itemwh
24 5번째 세계와 더불어 셋잇단 박자 기반의 스윙 박자가 주를 이루는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번째 세계의 셋잇단 박자를 2배속한 모양이 2번 연속으로 등장하는 '육각형' 패턴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r23
O:itemwh
25 처음 보면 난해한 스윙 패턴이 레벨 전반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속도 또한 이전의 세계들에 비해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박자 감각을 익히기 위한 튜토리얼이 8개로 굉장히 많은 편에 속한다.
26
r18
O:itemwh
27 == 튜토리얼 ==
r1

(새 문서)
28 === 8-1 경사진 길, 기억하시나요? ===
29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1[br]'''{{{+2 경사진 길, 기억하시나요?}}}'''[br]{{{-1 Remember Skewed Steps?}}} ||
30 ||<-6><nopad> [youtube(튜토리얼)] ||
31 ||<-6><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32 [[파일:tuto8-1.png]]}}} ||
r14
33 ||<width=25%> '''BPM''' ||<-3>130 ||
34 || '''타일 수''' ||<-3>17 ||
r24
O:itemwh
35 || '''배우는 패턴''' ||<-3>길게 이어지는 120° 위로 경사진 길 ||
36 5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경사진 길이 매우 길게 이어져 있다. 사실상 2번째 세계의 엇박이 셋잇단 기반의 스윙 박자로 바뀐 것이라 봐도 된다.
37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r25
O:itemwh
38 ■□■|□□■|□□■|□□■|□□■|□□□|■□□|■□□
r14
39 === 8-2 꼬인 오르막길 ===
40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2[br]'''{{{+2 꼬인 오르막길}}}'''[br]{{{-1 Skewed Loop Climb}}} ||
41 ||<-4><nopad> [youtube(tuto)] ||
r9
O:띠아블
42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r1

(새 문서)
43 [[파일:tuto8-2.png]]}}} ||
r15
49.175.149.240
44 ||<width=25%> '''BPM''' ||<-3>130 ||
45 || '''타일 수''' ||<-3>31 ||
r26
O:itemwh
46 || '''배우는 패턴''' ||<-3>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
47 이전 튜토리얼의 경사진 길에 마름모꼴 모양의 길이 추가되었다. 본격적인 120°-60°의 스윙 박자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48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49 ■□■|□□■|□□■|□□■|□□■|□□■|□□■|■□■
r15
49.175.149.240
50 === 8-3 펑키한 브레이크 ===
51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3[br]'''{{{+2 펑키한 브레이크}}}'''[br]{{{-1 Funky Break}}} ||
52 ||<-6><nopad> [youtube(tuto)] ||
r9
O:띠아블
53 ||<-6><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r1

(새 문서)
54 [[파일:tuto8-3.png]]}}} ||
r16
49.175.149.240
55 ||<width=25%> '''BPM''' ||<-3>150 ||
56 || '''타일 수''' ||<-3>25 ||
r27
O:itemwh
57 || '''배우는 패턴''' ||<-3>300° 밑으로 꺾인 길 ||
58 패턴의 모양 자체는 5번째 세계에서 나온 3번째 튜토리얼의 모양에서 중간의 1박자가 빠진 모양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같은 박자이나, 속도가 좀 더 빠르다.
59 따라서 60° 길의 연속으로 눌러야 하는 박자가 상당히 빠르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60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61 ■□□|□□■|■□□|■□□|□□■|■□□|■□□|■□□
r16
49.175.149.240
62 === 8-4 육각형을 소개합니다 ===
63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4 육각형을 소개합니다}}}'''[br]8-4 Introducing Hexagons ||
64 ||<-4><nopad> [유튜브 링크] ||
r9
O:띠아블
65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r1

(새 문서)
66 [[tuto8-4.png]]}}} ||
r10
67 ||<width=25%> '''BPM''' ||<-4> 150 ||
r9
O:띠아블
68 || '''타일 수''' ||<-4> 36 ||
r29
O:itemwh
69 || '''배우는 패턴''' ||<-4> 반육각형, 육각형 ||
r28
O:itemwh
70 처음으로 육각형 패턴이 등장하는 튜토리얼이다. 모양은 다르지만 실제 박자는 4번째 세계의 삼각형 모양의 박자와 본질적으로 같다.
71 반으로 잘린 모양의 육각형 길은 4번째 세계의 삼각형 길을 2배 빠르게 한 박자와 똑같고, 육각형은 이를 한 번 더 반복해서 입력하면 된다.
72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73 반육각형
74 ■□□|■□□|■□■|□■□|■□□|■□□|■□■|□■□
75 육각형
76 ■□□|■□□|■□□|■□□|■□■|□■□|■□■|□■□
r11
O:admin
77 === 8-5 네모난 파도 ===
r13
O:admin
78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5 네모난 파도}}}'''[br]8-5 Square Wave ||
r9
O:띠아블
79 ||<-4><nopad> [유튜브 링크] ||
80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r1

(새 문서)
81 [[tuto8-5.png]]}}} ||
r10
82 ||<width=25%> '''BPM''' ||<-4> 155 ||
r9
O:띠아블
83 || '''타일 수''' ||<-4> 24 ||
r33
O:itemwh
84 || '''배우는 패턴''' ||<-4> 300° 밑으로 꺾인 길+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
85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길은 5번째 세계의 3번째 튜토리얼과 박자가 같고,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길은 5번째 세계의 2번째 튜토리얼과 박자가 같다.
86 이 두 가지의 길이 순서대로 합쳐져 총 3번 연속으로 나온다.
87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88 ■□□|■□□|□□■|□□■|■□□|■□■|□□■|□□□
r11
O:admin
89 === 8-6 바다뱀 ===
r13
O:admin
90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6 바다뱀}}}'''[br]8-1 The Sea Serpent ||
r9
O:띠아블
91 ||<-4><nopad> [유튜브 링크] ||
92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r1

(새 문서)
93 [[tuto8-6.png]]}}} ||
r10
94 ||<width=25%> '''BPM''' ||<-4> 155 ||
r9
O:띠아블
95 || '''타일 수''' ||<-4> 25 ||
96 || '''배우는 패턴''' ||<-4> 패턴 ||
97 (엄청난 설명)
r11
O:admin
98 === 8-7 색소폰 ===
r13
O:admin
99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7 색소폰}}}'''[br]8-1 Saxophone ||
r9
O:띠아블
100 ||<-4><nopad> [유튜브 링크] ||
101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r1

(새 문서)
102 [[tuto8-7.png]]}}} ||
r10
103 ||<width=25%> '''BPM''' ||<-4> 160 ||
r9
O:띠아블
104 || '''타일 수''' ||<-4> 27 ||
105 || '''배우는 패턴''' ||<-4> 패턴 ||
106 (엄청난 설명)
r11
O:admin
107 === 8-8 육각형 언덕 ===
r13
O:admin
108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8 육각형 언덕}}}'''[br]8-8 Hexagon Hill ||
r9
O:띠아블
109 ||<-4><nopad> [유튜브 링크] ||
110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r1

(새 문서)
111 [[tuto8-8.png]]}}} ||
r10
112 ||<width=25%> '''BPM''' ||<-4> 160 ||
r9
O:띠아블
113 || '''타일 수''' ||<-4> 26 ||
114 || '''배우는 패턴''' ||<-4> 패턴 ||
115 (엄청난 설명)
r11
O:admin
116 == 8-X Jungle City ==
r13
O:admin
117 ||<table align=center><-4><tablewidth=5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7462F, #395834)"
r9
O:띠아블
118 '''{{{+2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6px #FFEB4C; color:#FFEB4C"
119 8-X Jungle City}}}}}}'''}}} ||
r1

(새 문서)
120 ||<-4><nopad> [youtube(TzMX8b6nI8k, start=128)] ||
121 ||<width=25%> '''작곡가''' ||<-4> Jade Kim & [[Hafiz Azman|fizzd]] ||
122 || '''BPM''' ||<-4> 200[* 최대 타일 BPM 200, 체감 BPM 600] ||
123 || '''길이''' ||<-4> 1:27 ||
124 || '''타일 수''' ||<-4> 318 ||
r7
125 || '''목표 배속''' ||<-4> 1.3배 ||
r1

(새 문서)
126 || '''주요 패턴''' ||<-4> [include(틀:레벨 태그,tag1=Hexagon,tag2=Swing,tag3=Triplet)] ||
127 ||<|2> '''난이도''' ||<width=35%>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edit?gid=1992961051#gid=1992961051|시트 난이도]]''' ||<width=20%> '''ADOFAI.gg[br]기준''' || '''TUF[br]기준''' ||
128 || 미기재 || [[파일:gg Lv 5.svg|width=30]] || [[파일:TUF Lv P4.png|width=30]] ||
r2
129 해금되는 공 색깔
r1

(새 문서)
130 쑥색 (#004028)
r4
131 올리브 (#547141)
132
r12
O:admin
133 [[분류:공식 레벨]][[분류:Hafiz Azman]]